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화성특례시가 17일부터 10월 말까지 말라리아 등 모기 매개 감염병의 효율적 차단을 위해 2025년 친환경 방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방제사업은 서부·동탄·동부보건소별로 지역별 주요 감염병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친환경 방역소독을 통해 여름철 모기와 해충 번식을 사전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운영 ▲예방 수칙 교육·홍보 ▲모기 감시 및 방제 작업 등을 추진하며, 방역 작업 시 저독성 살충제 사용, 포충기를 이용한 물리적 방제, 친환경 연무소독 등 환경 친화적인 방제법을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시는 화성시자율방재단과 협력해 선제적 유충구제, 약품 지원, 감염병 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등 민관이 함께 보다 촘촘하고 효과적인 방제 체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곽매헌 화성시서부보건소장은 “화성특례시는 지속적인 방제 활동을 통해 감염병 발생을 예방하고, 시민들의 건강 보호와 더욱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전국에 산림이 소나무재선충 확산을 막기 위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화성시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1988년 처음 발견됐다. 기주 수목-매개충-병원체 등 3가지 요인 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단기간에 급속히 나무를 고사시키는 시들음병으로 한 번 감염되면 치료 회복이 불가능하여 100% 고사하는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으로 소나무에이즈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고 역사를 함께한 국민나무 소나무는 1960년 60%에서 2023년 약 20%만이 서식 분포돼 있으며,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그 원인이 바로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오죽하면, 70년 후에 소나무가 멸종될 수도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화성시는 올해 서신면 국유림 내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이미 발견됐으며,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재선충 발병 시기가 점점 더 빨라지고 길어지는 추세다. 이에 따라 시는 12월 말까지 방제대상목 소각처리 등 방제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인접 지역인 장안면, 봉담읍, 정남면, 비봉면, 팔탄면, 매송면, 양감면 향남읍, 등은 소나무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