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오산시 음식물자원화시설 운영과 관련 관리위탁 계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용역비 시설 개보수 등에 수년 동안 위탁 비용과 크게 차이가 없는 예산이 들어가 논란이 일고 있다. 런던협약(폐기물을 해양에 함부로 버리는 걸 막기 위해 각국이 비준한 협약)에 가입한 대한민국은 지난 2013년부터 음식 폐기물류 해양투기가 금지됐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음식물 자원화시설의 필요성이 자연적으로 제기했고 오산시도 2009년 음식물 자원화시설에 약 112억 원을 투자해 오산시 관내 누읍동 인근에 시설을 마련했다. 하지만 운영 2년 만에 관리위탁을 맡아온 첫 업체가 부도가 나며 신규 위탁업체를 선정하면서부터 가동이 중지되는 등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도 최첨단 공법을 약속하고 발생 되는 부산물은 사료나 퇴비로 재판매 된다며 지어진 음식물자원화시설은 현재 2024년에도 여전히 논란의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2009년 당시 오산시는 음식물 자원화시설에서 하루 4톤의 발효사료나 발효퇴비를 생산해 그에 맞는 수탁 농지를 비롯해 각종 수요처 공급 계획을 수립했다며 자신만만한 태도를 보였지만 정작 수요처의 매각과 부도라는 대답으로 일관하고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누읍동 환경타운내 2009년 준공된 음식물 자원화시설이 2023년 현재 관리 소홀로 인한 문제에 맞닥뜨려 오산시 음식물 쓰레기 관련 협착물과 생산되는 퇴비보관 관리 미비로 인한 환경 문제가 매우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적이 제기된 오산시 음식물자원화시설은 2011년 업체인 **특장개발(주)이 부도나면서 2013년 3월부터 **업체와 36억7천9백만 원에 수의계약 후 4개월 뒤 33억5천2백만 원 증액해 설계변경 등 총 76억5천만 원이 투입되면서 재준공이 났다. 이어 2017년에 발생한 논란의 쟁점은 2013년 당시 **업체와의 계약상 문제 의혹으로 불거졌고 오산시는 쪼개기 수의계약을 통해 2억여 원의 예산을 낭비함과 동시에 특허법을 보유했다는 이유로 **업체와 수의계약을 하는 과정에서 특허공법(특공)과 관계없는 배관공사 및 페수처리시설, 탈취시설 등의 공사비를 (특공)에 포함시켜 **업체에 5억여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겨 줬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또한 2017년 7월 음식물처리시설 민간위탁운영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업체가 1차 선정 탈락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사유 없이 위탁업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