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안산시에 더 이상의 인구감소는 막을 것” 23일 이민근 안산시장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안산시는 인근 이웃 시와는 달리 약 10년도 되지 않는 기간에 거의 9만 명이 넘는 인구가 타지로 이주했다. 2014년 총 762,915(내국인 713,666 등록외국인 49,249)명에서 2024년 12월 총 674,819(내국인 620,579 등록외국인 54,240)명으로 집계된 것을 본다면 얼마나 심각한지 이해가 된다. 그래서인지 이민근 시장은 안산시 인구감소에 유독 거부감과 함께 아쉬움을 토로했는데 상대적으로 신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는 인근 화성시로 이주한 이유와 함께 거의 16년간 지속된 거품성 개발의 탓도 인구감소에 한몫을 차지했다는 뉘앙스를 보여준다. 안산시는 과거 공단과 함께 건설된 계획도시로 한때 수도권의 대표적 산업도시로서 반월공업단지가 큰 호황을 불러일으키며 3.800여 업체에 9만 5천여 명의 노동자가 상주했었고 그만큼 경제, 상업, 산업 등 모든 면에서 경기도의 으뜸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늘어나는 공장에 늘어나는 환경오염부터 늘어나는 외국인 노동자에 늘어나는 우범지역까지 급격한 산업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화성시는 16일 출산지원금 및 효도수당의 확대 지원을 통해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와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부양 문제 해결과 대비를 위한 두 번째 안건을 내놓았다. 이어 지난해 ‘화성시 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 및 ‘화성시 3대 가정 효도수당 지원에 관한 조례’의 개정을 통해 지원금과 대상을 대폭 확대한 저출산 극복 정책으로 기존 셋째 아동 출생 시부터 지원하던 출산지원금을 2023년 1월 1일 출생 아동부터 첫째 100만원, 둘째·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특히 모든 출생 아동에게 지급하는 ‘첫만남 이용권 바우처(200만원)’를 합하면 첫째 아동 출생 시 300만원, 둘째·셋째 아동 출생 시 400만원, 넷째 아동 이상은 5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출산지원금 지원대상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하고 화성시에 부모가 180일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경우 지급되고 180일 미만으로 거주하면 자녀출생일 기준으로 180일이 지났을 때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에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기간은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만 가능하다. 이에 추가 소요 예산은 오는 4월 추가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