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세계자연유산 등재라는 것이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게 현실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화성 갯벌(간척지) ‘세계자연유산 등재’(이하 유산등재) 추진 관련, 우정읍 지역 어촌계장들은 “유산등재에 대한 어떤 얘기도 들은 바 없다”고 밝힌 가운데 자연유산 등재를 반대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지난 7월 3일 있었던 화성 갯벌, 유산등재 국회토론회 내용을 우정읍 어촌계장들에게 알리고자 11일 목요일 우정읍 인근 음식점에 마련된 간담회에서 “지역 어촌계장(3개 지역)들에게 국회토론회 내용을 전달했다”라며, 화성사랑·환경연대 박용옥 회장은 이와 같이 밝혔다. 또한 박용옥 회장은 “갯벌 발제자들이 화성시를 화성군으로 여러 차례 격하시켜 거론했다”라며, “우리 화성 갯벌은 신안 앞바다와 다른 시각으로 봐야 한다. 이미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만 잘하면 된다”라는 주장을 했다. 우정면 석천리 지원주 어촌계장은 “유산등재와 관련, 전에 이장단과 간담회를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 충분한 설명도 없는 일방통행이다”라며, “합당한 설명은 물론 어민들에 득. 실이 뭐냐 따져봐야 하며 유산 등재가 이뤄지면 각종 규제로 어민들이 힘들어진다”라고 언급했다.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화성습지(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2023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대회> 컨퍼런스의 공식 의제로 토론됐다.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에서 주관한 이번 대회는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2박3일간의 일정으로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 및 순천시 일원에서 진행됐다. 1999년 시작해 올해 25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대회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정부와 기업, 지속가능발전 추진 기구,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하여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지방의 지속가능발전목표(L-SDGs) 수립‧실천을 확산하는 행사다.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서도 소속 위원들과 전체 일정에 함께 했다. 특히, 둘째날 오후 컨퍼런스 프로그램 중 하나로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 2차 등재를 위한 토론회>를 세계자연유산화성서포터즈 등과 공동으로 주관했다. 남권길현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 진행하는 가운데 문경오 (재)한국의갯벌세계유산등재추진단 사무국장, 박상현 신안군 세계유산과 팀장이 기본 발제에 나섰다. 문경오 박사는 "현재 1,154건의 세계유산 중 자연유산은 218건에 불과하며,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