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올해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를 지난해 250교에서 527개교로 확대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자율선택급식은 학생들이 스스로 식사량을 조절하는 자율배식, 학교별 여건에 맞춰 주 2~3회 선택식단 제공, 채소 섭취 증가를 위한 쌈채소(샐러드바) 운영 등 새로운 학교 급식 형태다. 도교육청은 2022년 전국 최초로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 10교를 시범운영하고 2023년에는 70교, 2024년 250교, 올해에는 527교로 대폭 확대 지정했다. 이 외에도 지난해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 학생 1만 7,897명과 학부모 5,227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만족(학생 92.6%, 학부모 90.3%), 지속적 운영 희망(학생 96%, 학부모 91.2%)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학부모의 만족도가 매우 높고 지속적으로 운영을 희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선택급식의 좋은 점으로는 94.7%가 ‘적정배식량을 알고 건강한 식습관에 도움이 된다’, 89.1%가 ‘새로운 식재료를 먹어본 경험이 증가했다’, 92.6%가 ‘음식을 남기지 않는 실천역량에 도움이 된다’등으로 조사됐다.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에서는 평균 6.8%(1인 1식당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17일 오전 화성시 동탄중학교에서 자율선택급식 정책 확대와 관련한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브리핑에는 동탄중학교 학부모와 학생회장 그리고 남현석 교장선생님,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보건과 갈인석 과장, 급식기획담당 김동민 사무관, 구연희 급식정책전문관이 참석해 자리에 함께한 기자들에게 자율선택급식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경기도교육청은 2024년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 250개교의 내실화 지원과 함께 오는 2026년까지 운영학교를 750개로 확대 운영하는 등의 추진 계획을 밝혔다. 이어 학생 48.000명을 대상으로 자율선택급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점심시간이 즐겁다는 학생들이 95.6%에 달했으며, 급식을 만들어주는 영양사선생님과 조리실무사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는 학생이 97.5%로 상승했다고 전했다. 또한 기존 급식시스템에서 발생하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의 절감으로 탄소중립의 실천은 물론 자율적 배식이라는 특성에 따라 식사 예절과 배려 같은 기본 인성교육도 연계할 수 있다는 특점, 그리고 자동화 기기 도입으로 조리실무사들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여건에 따라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동탄중학교 학생“학교에 가는 게 즐거워요” 자율선택급식으로 학우 간에 배려와 존중을 배워···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2024년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 250개교의 내실화를 지원하고, 오는 2026년까지 운영학교를 750개로 확대 운영하는 등 새로운 학교급식으로의 대전환을 추진한다. 경기도교육청은 17일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동탄중학교에서 ‘경기도 자율선택급식 정책 확대’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운영을 위해 2022년 시범운영학교 10교, 2023년 모델학교 70교를 실시했다. 올해는 실천학교(재지정교) 69교, 참여학교(신규참여교) 181교 등 총 250교를 지정, 운영하고 있다. 자율선택급식 운영 내용은 ▲자율배식과 선택식단, 과일채소식단(샐러드바) ▲교육과정 연계 수업 및 학생주도 급식 활동 ▲급식 자동화 기기 확충 및 식당 환경 개선 등이다. 운영 기간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이며, 도교육청은 오는 2026년까지 경기도 내 학교 750교로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정책을 확대하기 위해 ▲자율선택급식 정책 내실화 및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