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수년간 오염물질자동측정장치(TMS) 조작으로 물의를 일으킨 B환경업체가 2025년 여전히 포천시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위탁 운영하는 것으로 밝혀져 물의를 빚고 있다. 해당 업체는 다수의 환경 관련 업체를 보유한 모 대기업의 계열사 중 하나로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포천시 산하 A하수처리장 위탁운영 5년간 총 약 2만여 회에 걸쳐 수질오염물질인 총질소 항목 값을 조작한 것이 드러났으며 관련인 26명이 검찰에 송치됐었고 관련 직원 4명은 벌금형을 선고받았었다. B환경업체는 방류 가능 수질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TMS 측정상수인 전압값을 낮추는 방법으로 수년간 법망을 피하다가 기획 수사를 통해 환경부에서 이를 적발했고 당시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됐었지만, 조작을 통한 오염수 불법 방류에도 불구하고 1개월 영업정지 처분이라는 가벼운 징계를 받았다. 이에 계약만료 5년 중 약 1년을 남기고 2019년 2월부터 포천시는 B환경업체 대신 ‘엠코’라는 업체와 TMS(오염물질자동측정장치) 부분만 계약을 진행했고 2020년 포천시가 다시 공공하수 처리 시설 관리대행 업체 선정 입찰을 진행할 때 문제의 B환경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성남수질복원센터(하수처리장)의 탄천변 이전 지하화 사업이 속도를 내게 됐다. 시는 해당 사업 시행자 우선협상대상 지정을 위한 행정 절차인 제3자 제안공고안이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 심의를 통과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다음 달 초 90일간 제3자 제안공고를 내 복정동 하수처리장 탄천변 이전 지하화 사업 관련 민간제안서를 접수받고, 올해 안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시는 복정동 하수처리장(46만t/일)을 1㎞가량 떨어진 수정구 태평동 탄천변의 폐기물종합처리장 자리(5만4000㎡)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하수처리장은 폐기물종합처리장의 음식물처리시설(300t/일), 대형폐기물 파쇄 시설(50t/일)과 함께 지하에 현대화된 시설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시는 주변 부지 5만7000㎡를 사들여 총 11만1000㎡ 규모에 3개 시설 이전 통합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땅 위에 공원, 체육시설 등 주민친화시설을 설치해 여가·휴양 공간을 조성한다. 준공 목표는 오는 2030년 말이다. 소요되는 총투자비는 민간제안서 접수일 기준 7156억원이다. 사업 시행자는 30년간 시설을 운영한 뒤 시에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