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광명시가 9일(수) 오전 다섯 번째 주간 정책브리핑을 통해 30년 이상 노후 공동주택이 집중된 철산·하안택지지구의 재건축 관련 지구단위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광명시 장병국 신도시개발국장의 언급에 따르면 “2033년에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이 완료될 시 기존 14개 단지 2만 6천 518세대에서 6천 2백 82세대 증가한 3만 2천 800여 세대에 약 7만 9천여 명의 시민들이 거주할 것”이라는 예상도 포함된다.
시가 발표한 이번 재건축 사업을 살펴보면 오는 12월 단지별 정비구역 지정을 시작으로 2027년 사업시행인가 그리고 2028년 관리처분인가를 마친 후 2030년에 착공을 하고 2033년에 재건축 정비사업 준공을 목표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시는 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은 이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완료 전 계획을 수립해 원활한 재건축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핵심 전략도 시사했다.
이미 24년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아 재건축 정비사업이 추진 중인 철산주공 12, 13단지 하안주공 1~12단지 14개 단지의 경우 대부분이 15층 규모의 중층 공동주택으로 용적률이 평균 168%에 달해 사업성이 낮다고 판단했고 이에 지구단위계획에 사업성 확보 방안, 편의시설 확보 방안 등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추진은 물론 그 기반에 정도를 상향한 것이다.
이와 관련 광명시는 하안주공1·2단지, 하안주공3·4단지, 하안주공6·7단지, 하안주공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4개로 묶고 나머지 단지들은 개별로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지구단위계획에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보, 기반 시설 확보 등의 원활한 추진을 진행할 예정이다.
말 그대로 따로따로였던 단지들을 하나의 정비구역으로 묶어 기반 시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이용과 관리 두 개의 시스템 연계성 등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향후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시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지구단위계획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용적률인 ‘기준용적률’이 220%인 중·고층 아파트,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등을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구단위계획에서 정한 사항을 이행하는 경우 허용용적률은 250%까지 적용되며, 공공시설물을 제공하는 경우 상한 용적률은 최대 280%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계획했고 친환경·지능건축물이나 장수명·공공임대주택을 건축하는 경우 최대 330%까지 용적률을 허용해 사업성과 공공성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 민간 재개발 사업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14.8%를 공공기여로 환수해 도로, 공원, 학교, 행정복지센터, 문화·체육시설 등 기반 시설과 필요시설은 물론 공원 녹지 비율 5.8% 적용 및 획일적이고 유연한 설계를 지양해 아름다운 도심의 삶과 아름다운 경관 유지에 중점을 둔다는 계획도 빼놓지 않았다.
한편,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으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삶의 질과 여유로운 휴식 공간을 제공해 좀 더 안정적이고 살기 좋은 생활 기반이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주민 간 갈등은 최소화되도록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