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문화재단, 규정 무시한 그들만의 깜깜이 포상 논란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오산시의 긴축재정으로 오산문화재단의 조직개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재단의 규정을 무시한 일부 직원들만의 ‘깜깜이 포상’이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산문화재단의 규정에 의하면 <포상대상자를 심사·결정하기 앞서, 공정성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공적심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대상자를 정한다>고 되어 있다. <공적의 정도가 유사할 경우 상위직 보다 하위직, 단기간 근로보다 장기간 근로자를 우선한다>는 규정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적심의위원회는 형식적으로 진행되어 위원들의 서면동의만 받는 등, 안일한 심사를 진행해 포상을 시행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상위직보다 하위직을 우선한다는 규정에도 불구하고 팀장과 팀원이 포상대상자 후보에 올랐을 경우 팀장이 포상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며 재단 내 대다수 직원들의 포상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직원들은 오산시장상, 유관기관 포상, 상급기관 포상 등 포상의 시행도 모르고 있다가 보도자료 등을 토대로 알게 되는 경우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포상은 근무평가 및 승진고가에도 반영되는 부분이라 더욱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9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이하 한문연)가 주최한 <제주해비치아트페스티벌>에서의 포상으로 논란이 더 확산되고 있다. 한문연에서는 각 기관의 추천을 받아 문화예술상을 각 5개 부문, 총 32종의 포상을 시행했다. 그중 오산문화재단의 모 팀장이 문예회관인상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장상을 수상했다.

 

이 과정에서 오산문화재단의 경영팀은 한문연의 포상후보 추천안내 공문을 재단 내의 각 팀에게 전달하지 않았다. 공적심사위원회의 구성, 심사도 하지 않은 채로 포상후보자 추천 및 후보자 공적조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절차를 무시한 포상후보자 추천도 문제지만, 이런 포상 속에 상금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포상자가 한 언론사외의 인터뷰에서 팀원의 실적을 본인의 실적으로 포장하고 기획자가 있음에도 본인의 성과로 부풀려 자신의 공적으로 내세워 더욱 화를 키웠다.

 

한문연에서 안내한 포상대상자의 자격을 갖춘 직원들은 조직개편이라는 어려운 상황에서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재단 관계자는 “조직개편과 비대위가 조직된 상황인데 재단의 본부장과 몇몇 팀장들의 도덕적 해이, 방만한 경영으로 되려 오산시에 구조조정의 명분을 만들어주는 꼴”이라며 “지금이라도 재단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직원들의 목소리를 듣는 일부터 다시 시작해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그동안에도 공정하지 않은 근무평가에 따른 승진, 포상에 있어서도 불만이 많았다. 이번 일로 작은 부분에서도 개선해 새롭게 태어나는 오산문화재단이 되도록 전직원들의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프로필 사진
김삼성 대표기자

경기도를 사랑하는 이런뉴스 언제나 진실한 뉴스만 보도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