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경기도가 도가 추진 중인 선제적인 주요 도정들이 국민주권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1일 경기도의회에서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위원장을 만나 ‘미래성장 3대 프로젝트’와 간병SOS프로젝트, 기후보험 등의 국민체감정책, GTX통합망 등 지역개발·균형발전 방안 등이 담긴 ‘경기도 현안 건의’를 전달하고 주요내용을 직접 설명했다. 이번 건의는 경기도 미래 전략사업에 대한 정부·국회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대응 차원에서 이뤄졌다. 경기도가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미래성장 3대 프로젝트’는 ▲K-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구축 ▲기후테크 클러스터 조성 및 RE100 전환 ▲AI 컴퓨팅센터 민간유치 및 AI 선도사업 특구 지정이다. ‘국민체감정책’에는 어르신 돌봄 체계, 간병국가책임, 노동시간 단축, 청년기회, 기후복지 등 5개 주제에 10개 정책이 담겼다. 지역개발·균형발전 방안으로는 철도망 확충, 창업·일자리 인프라 조성, 경기북부 대개발 계획을 건의에 포함시켰다. 이와 함께 GTX 통합망 조성, 평택부발선 조기 착공, 경기남부동서횡단선 등 주요 철도사업과
경기도 “GH가 구리시로 이전하게 되면 연간 약 80억 원의 지방소득세 증대 효과뿐만 아니라, 655명의 근무직원과 연간 1만 5천 방문고객 증대 등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에 경기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원동력으로 도약시킬 북부개발의 상징이 될 것” 하지만· · ·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21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구리시의 서울 편입과 GH 구리시 이전을 동시 추진하는 건 70년 규제에 묶인 경기 북부의 성장잠재력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고 시사했다. 이어 고 경제부지사는 “김동연 경기지사께서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한 GH 구리시로의 이전 백지화를 검토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이와 관련한 후속 조치로 경기도의 입장을 전하고자 오늘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70년 규제에 묶인 경기북부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경기북부로의 공공기관 이전을 약속한 바 있으며 구리시는 구리시민 1만 명이 넘는 유치서명은 물론 20만 구리시민의 염원을 근거로 지난 21년 공모에서 10개 시·군을 물리치고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말 그대로
고영인 경제부지사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추진한 주체는 경기도” 강조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이상일 용인시장의 경기남부광역철도 관련 보도와 관련해서 일부 "기초단체장의 근거 없는 비판"이라며 맞불을 놨다. 10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경기도는 제16호 경기도청원 도지사 답변을 비롯해 그동안 여러 차례 국토부가 요구한 우선순위 노선 3개 선정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은 관련이 없다고 밝혀왔다”고 밝혔다. 이어 “40개 노선 중 3개만 찍으라는 국토부의 비현실적인 요구에 거절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지만, 전략적인 최소한의 대응을 해왔을 뿐”이라며 “경기남부광역철도는 경기도내 다른 어떤 노선보다 정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초자치단체장이 문제를 제기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은 경제성(B/C)이 높은 사업임을 인정하지만 이미 민간투자자가 국토교통부에 사업의향서를 제출하는 등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차원에서도 철도 민간투자사업 확대를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계속해서 고 경제부지사는